맨위로가기

1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2017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중국, 대한민국, 일본 3개국에서 개최된 바둑 대회이다. 대한민국이 우승, 중국이 준우승, 일본이 3위를 차지했다. 신민준 6단이 1차전에서 4연승을 거두었으며, 김지석 9단이 당이페이 9단과 커제 9단을 꺾으며 대한민국의 우승에 기여했다.

2. 대회 정보

제1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주)농심이 후원하고 한국기원이 주최하는 국가대항 바둑 단체전이다. 우승 상금은 5억이며, 본선에서 3연승을 거둔 기사에게는 1000만의 연승 상금이 주어진다. 3연승 이후에는 1승을 추가할 때마다 1000만이 추가로 지급된다. 대한민국, 중국, 일본의 대표 기사들이 참가한다.

2. 1. 대회 일정

1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의 대회 일정은 다음과 같다.

구분상세 일정
1차전2017년 9월 19일 ~ 9월 22일 (중국 옌볜)
2차전2017년 11월 24일 ~ 11월 28일 (대한민국 부산)
3차전2018년 2월 26일 ~ 3월 2일 (중국 상하이)


2. 2. 참가 기사 명단

국가선수
대한민국박정환 9단, 신민준 6단, 김지석 9단, 김명훈 5단, 이세돌 9단
중국판팅위 9단, 천야오예 9단, 저우루이양 9단, 스웨 9단, 커제 9단
일본이야마 유타 9단, 야마시타 케이고 9단, 쉬자위안 7단, 이치리키 료 8단, 위정치 7단


2.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랭킹 시드 박정환 9단을 제외하고 선발전을 통해 4명을 선발하여 총 5명의 대표팀을 구성했다. 선발전에는 랭킹 2위 신진서 8단을 비롯, 상위 랭커 대부분이 출전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그 결과, 신민준 6단, 김지석 9단, 김명훈 5단, 이세돌 9단이 대표팀에 합류했다. 신민준 6단은 선발전에서 5연승을 거두며 가장 먼저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순번이름당시 소속팀비고
1신민준申旻埈|신민준중국어 6단정관장 황진단선발전 통과
2김지석金志錫|김지석중국어 9단Kixx선발전 통과
3김명훈金明訓|김명훈중국어 5단화성시 코리요선발전 통과
4이세돌李世乭|이세돌중국어 9단Kixx선발전 통과
5박정환朴廷桓|박정환중국어 9단-랭킹 시드



신민준 6단은 당시 한국 랭킹 10위권 밖이었으나, 선발전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다. 김지석 9단은 꾸준한 성적을 바탕으로 대표팀에 합류했으며, 이세돌 9단은 관록을 앞세워 다시 한번 농심배에 출전하게 되었다.

2. 2. 2. 중국

중국은 5명의 대표 선수를 파견했다.

선수프로필
판팅위9단, 1996년생. 2010년 입단, 2013년 제7회 응씨배 우승.
천야오예9단, 1989년생. 1999년 입단, 2013년 제9회 춘란배 우승, 2016년 제3회 바이링배 우승, 2017년 제1회 신아오배 우승.
저우루이양9단, 1991년생. 2002년 입단, 2013년 제1회 바이링배 우승.
스웨9단, 1991년생. 2002년 입단, 2013년 제37회 LG배 우승.
커제9단, 1997년생. 2008년 입단, 2015년 제2회 바이링배, 제20회 삼성화재배, 2016년 제2회 몽백합배, 제21회 삼성화재배 우승.



판팅위 9단은 2013년 제7회 응씨배에서 우승하며 세계적인 강자로 떠올랐다. 커제 9단은 2015년 제2회 바이링배 우승을 시작으로, 같은 해 제20회 삼성화재배, 2016년 제2회 몽백합배와 제21회 삼성화재배를 연이어 석권하며 최정상급 기사로 자리매김했다.

2. 2. 3. 일본

선수프로필
이야마 유타 9단1989년 5월 24일생. 2017년 10월 현재 일본 서열 1위. 2017년 10월 26일 일본 바둑 역사상 최초로 7관왕 달성.
야마시타 케이고 9단1978년 9월 6일생. 일본 기성전 3회 우승(2003, 2008, 2009) 및 2회 준우승(2004, 2010).
쉬자위안 7단1997년 12월 26일생. 2017년 제42기 일본 신인왕전 우승.
이치리키 료 8단1997년 6월 10일생. 2016년 제1회 중일 용성전 우승.
위정치 7단1995년 8월 16일생. 대만 출신으로 2017년 일본 7단 승단.


3. 대국 결과

대국대국일자차전장소승자패자결과기보
12017년9월 19일1차전중국 선양신민준판팅위298수 백 3집반승[http://www.cyberoro.com/gibo_new/giboviewer/giboviewer.asp?wh=kiwon&gibo=http://open.cyberoro.com/gibo/201709/20170919-nogs1-sinminj.sgf&gibonum=27936]
29월 20일위정치179수 흑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046/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09%2F20170920-nsr2-sinminjun_nor.sgf]
39월 21일저우루이양145수 흑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232/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09%2F20170921-ns3-nor%281%29.sgf]
49월 22일쉬자위안196수 백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257/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09%2F20170922-ns4r-sinminj_nor.sgf]
511월 24일2차전부산천야오예295수 백 4집반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041/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11%2Fdd%282%29.sgf]
611월 25일야마시타 게이고228수 백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259/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11%2F1%281%29.sgf]
711월 26일당이페이신민준232수 백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237/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11%2F11%283%29.sgf]
811월 27일이치리키 료151수 흑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013/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11%2F22%282%29.sgf]
911월 28일김명훈231수 흑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118/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11%2F777.sgf]
102018년2월 26일3차전중국 상하이이야마 유타당이페이182수 백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145/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802%2F20180226-nongsim10-dangyif_nor.sgf]
112월 27일신진서당이페이212수 백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326/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802%2F20180228-19ns11-dangyif_nor.sgf]
122월 28일김지석당이페이333수 백 반집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116/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802%2F20180228-19ns12-kimjis_nor.sgf]
133월 1일커제김지석217수 흑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120/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803%2F20180301-19ns13-kimsjis_nor.sgf]



제19회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은 대한민국이 우승(8승 3패)했으며, 박정환은 출전하지 않았다. 중국은 준우승(5승 5패), 일본은 3위(0승 5패)를 기록했다. 각 차전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3. 1. 1차전 (중국 선양)

대국대국일자차전장소승자패자결과기보
12017년9월 19일1차전중국 선양 완다문화호텔신민준 六단판팅위 九단298수 백 3집반승[http://www.cyberoro.com/gibo_new/giboviewer/giboviewer.asp?wh=kiwon&gibo=http://open.cyberoro.com/gibo/201709/20170919-nogs1-sinminj.sgf&gibonum=27936]
29월 20일위정치 七단179수 흑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046/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09%2F20170920-nsr2-sinminjun_nor.sgf]
39월 21일저우루이양 九단145수 흑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232/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09%2F20170921-ns3-nor%281%29.sgf]
49월 22일쉬자위안 七단196수 백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257/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709%2F20170922-ns4r-sinminj_nor.sgf]



1차전은 2017년 9월 19일부터 9월 22일까지 중국 선양 완다문화호텔에서 개최되었다. 한국의 신민준 6단은 1차전에서 4연승을 기록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특히, 신민준 6단은 중국의 판팅위 9단, 저우루이양 9단 등 강자들을 연파하며 주목받았다.

3. 2. 2차전 (부산)

2차전은 2017년 11월 24일부터 11월 28일까지 부산 농심호텔에서 진행되었다. 1차전에서 4연승을 거둔 신민준 6단은 2차전 첫 대국에서 천야오예 9단에게 패하며 연승이 중단되었다. 이후 야마시타 게이고 9단에게도 패했다.

당이페이 9단은 신민준 6단, 이치리키 료 8단을 상대로 승리하며 연승을 이어갔으나, 한국의 김명훈 5단이 당이페이 9단을 상대로 승리하면서 한국은 다시 반격의 기회를 잡았다.

대국대국일자장소승자패자결과
52017년 11월 24일부산 농심호텔천야오예 九단신민준 六단295수 백 4집반승
62017년 11월 25일천야오예 九단야마시타 게이고 九단228수 백 불계승
72017년 11월 26일당이페이 九단신민준 六단232수 백 불계승
82017년 11월 27일당이페이 九단이치리키 료 八단151수 흑 불계승
92017년 11월 28일김명훈 五단당이페이 九단231수 흑 불계승



3. 3. 3차전 (중국 상하이)

대국대국일자승자패자결과기보
102018년 2월 26일이야마 유타 九단당이페이 九단182수 백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145/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802%2F20180226-nongsim10-dangyif_nor.sgf]
112018년 2월 27일신진서 八단당이페이 九단212수 백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326/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802%2F20180228-19ns11-dangyif_nor.sgf]
122018년 2월 28일김지석 九단당이페이 九단333수 백 반집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116/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802%2F20180228-19ns12-kimjis_nor.sgf]
132018년 3월 1일커제 九단김지석 九단217수 흑 불계승[https://web.archive.org/web/20180327212120/http://baduk.or.kr/common/giboview_activex.asp?giboPath=http%3A%2F%2Fopen.cyberoro.com%2Fgibo%2F201803%2F20180301-19ns13-kimsjis_nor.sgf]



10국은 이야마 유타 9단이 당이페이 9단을 상대로 182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두었다. 11국에서는 신진서 8단이 당이페이 9단에게 212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두며 한국에 첫 승을 안겼다. 12국에서는 김지석 9단이 당이페이 9단을 상대로 333수까지 가는 접전 끝에 백 반집승을 거두는 극적인 승리를 기록했다. 하지만 13국에서 커제 9단이 김지석 9단을 217수 만에 흑 불계승으로 꺾으면서 3차전은 마무리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